-
높은 혈압의 진단, 혈압 측정 및 환자 평가 [20하나8 대한높은 혈압학회 높은 혈압 임상진료지침]카테고리 없음 2020. 3. 13. 02:22
6. 혈압측정
>
고혈압, 백의고혈압 및 마스크고혈압을 진단하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하여 가정혈압측정을 권고 정확한 가정혈압측정을 위하여 모든 환자에게 가정혈압측정법을 교육할 것을 권고 가정혈압 측정시 마스크고혈압과 저항성 고혈압의 평가에 도움이 되며 고혈압 약물치료를 받는 환자의 조절상태를 확실하게 알 수 있으므로 환자의 순응도, 치료의 적극성 그리고 혈압조절률을 높일 수 있다.
>
한 학급적으로 가족의 혈압은 진료실 혈압보다 낮다. 가족혈압으로 고혈압은 135/85mmHg 이상으로 정의
>
7. 환자의 평가일) 1차성과 2차성 높은 혈압을 감별 2) 높은 혈압의 중등도를 평가 3)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인재와 생활습관을 파악 4) 심뇌혈관질환의 유무와 치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동반질환은 무증상 장기손상 유무의 확인증상 및 징후대개 특이증상은 없다. 우연히 혈압 상승 발견=본인의 이차성 혈압을 유발하는 기저질환 증상이 있을 때 진료실을 찾게 된다. 중증이 높은 혈압의 경우 후두 부위에 대한민국되어 이른 오전 발생했다가 사라지는 두통이 생길 가능성이 거의 없다. 그 밖에 어지럼증 두통 피로 성기능장애 어린이도 있을 수 있어 본인이 많지 않다. 과거 병력 및 현재의 병력과 소가족력, 2차성 혈압을 의심할 만한 병력 - 수면무호흡증: 오전의 두통, 낮의 과도한 졸음, 우울증, 집중력저하, night호흡곤란 - 1차성 알도스테론증: 다뇨 및 향후 근무력감 - 쿠싱증후군: 체중증가, 정서불안 - 갈색세포종: 발작성 두통, 두증거, 발한, 기립성 어지럼증후 장기혈관찰, 수면부 이상 등의 증상과 신체적 증상과 신체적 증상, 동맥증진찰, 뇌졸증, 뇌졸증, 뇌졸증, 뇌졸증, 뇌졸증, 뇌졸증(甲状腺)
>
기본검사는 적어도 진단시점 및 1년마다 실시하도록 권고환자의 상태에 따라 필요에 따라 권장검사 및 확대검사를 실시*12유도심전도: 좌심실비대, 좌각블록, 심근경색>심뇌혈관질환 위험. 도 높은 음*단백뇨, 혈뇨: 신장질환/당뇨: 당뇨병*저칼륨혈증: 1차성 알도스테론증(무기질 코르티코이드 과잉상태)/티아지딘 루프 이뇨제 사용 시 기저검사로 할 것. 무력감, 부정맥 및 당뇨병 발생 증가와 관련 * 고칼륨혈증: 신기능장애 * 요산값 증가: 통풍, 신장 어린이, 비만, 이뇨제 투약 시 자기타언 * 이뇨제, 베타차단제 사용시 고혈당 및 이상지질혈증 확인 * 신흉 X 선에서 심비대 및 폐혈류 증가 및 폐부종으로 인해 심부전 확인 심뇌혈관질환 위험인제와 무증상증상·심뇌혈관의 위험·도 산출을 통해 위험·자기장기 손상이 있으면 고혈압 진단 기준 미만의 혈압에서도 생활요법 등으로 혈압을 관리해야 한다.
>
>
최저 위험도 x2 = 평균 위험도 ------> 본 지침에서는 5%로 간주하여 평균 위험도 미만 → 최저 위험. 군 평균 위험도 이상 → 저위험 → 군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 -
>
수면 무호흡증도 2차성 고혈압 주원인 수면다원검사 확정